언론소식취미활동 넘어 미래를 준비하는 대안형 교육기관으로 발돋움

2019-03-22

기사 링크 바로가기 


“퇴사와 1인 기업을 준비하는 30대를 위한 모임을 만들면 관심이 있을까요?”

올해 1월 카드회사에 다니다 퇴직한 지 7개월 된 강혁진 씨(36)는 무심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이 같은 글을 올렸다. 다음 날 오전 무려 100명이 넘는 이가 강 씨의 게시물에 ‘좋아요’와 댓글을 남겼다. 1주일 뒤인 1월 마지막 수요일, 30대 직장인 40여 명이 서울 강남구 한 공유오피스에 모였다. 독립서점을 운영하며 작가의 꿈을 꾸는 청년과 취미로 시작한 가죽공방을 차린 한 1인 창업가까지. ‘진짜 하고 싶은 일’을 찾아가는 이야기로 꽃을 피웠다. 


올해 출범한 ‘월간 서른’은 매달 마지막 수요일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청년들이 모이는 교육형 살롱이다. 현재 매달 평균 100명 넘게 이곳을 찾는다. 월간 서른은 취향 공유를 넘어 직장인들을 위한 교육의 성격까지 지닌 살롱인 셈. 갈수록 사회적 불확실성은 커지고 있지만, 막상 마땅한 정보나 교육을 얻기 힘든 현실을 잘 비집고 들어갔다는 평을 받는다.  


최근 살롱은 이런 대안형 교육기관의 성격을 지닌 것이 많다. ‘신촌대학교’는 서울 서대문구 신촌 일대에서 카페나 스튜디오를 빌려 강의실로 사용한다. 캠퍼스도, 학위도 없지만 실용적인 지식을 배우는 데 주안점을 뒀다. 비정부기구(NGO) 세계를 다루는 ‘심봉사학과’나 생생한 프랑스어를 배우는 ‘샹송으로 사랑타령이나 불러볼과’, 창업 교육을 진행하는 ‘그까짓 창업학과’ 등이 인기다. 2015년 4월에 시작해 현재까지 300여 개 학과가 만들어졌다. 이 밖에 ‘낯선 대학’ ‘퇴직학교’ 등 이색적인 교육 살롱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2030 청년들이 단순한 지식 습득이 아니라 사회와 인간에 대한 성찰 등 인문학적 배움에 대한 기본적인 갈망을 지녔음을 보여 준다”며 “현재 국내 대학과 기업이 이런 문화적 감수성을 갖추지 못했다는 걸 방증하기도 한다”고 진단했다.  

 

동아닷컴   유원모(onemore@donga.com)· 이지운 기자